미래부 산하 VR협회, 중소기업 애로 외면 ‘상생정책은 어디로?’
미래부 산하 VR협회, 중소기업 애로 외면 ‘상생정책은 어디로?’
  • 임홍석 기자
  • 승인 2016.08.24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VR산업협회(이하 VR협회)가 국내 VR 중소 업체들을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역할론이 부각되고 있다. 

지난 9월 출범한 VR협회는 국내 VR산업의 다양한 사업자들의 상생과 협력구조를 구축하고 VR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최근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 중인 ‘가상현실 5대 선도 프로젝트’ 등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작 국내 VR사업의 주요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이 거의 제외돼 빈축을 사고 있다. 

민간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해당 프로젝트의 신청조건이 현실적으로 업계 상황에 걸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상현실 5대 선도 프로젝트를 수행할 컨소시엄으로는 SBS 컨소시엄, 시공테크컨소시엄, 롯데월드컨소시엄, CJ CGV 컨소시엄, 한컴 컨소시엄 등 5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이에 대해 관련업계에서는 꾸준히 가상현실 개발에 매진해왔던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들이 아닌, 대기업 위주의 컨소시엄 구성으로 본 사업이 VR산업 생태계를 위한 공모 사업이었는지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들 업체의 구심점이 돼어야 하는 VR협회가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아쉬움으로 남는다는 지적이다. 해당 프로젝트가 국내 VR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첫 삽을 든 공모사업인만큼 현실적으로 관련 기업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 철저한 시장 조사가 필요했다는 의견이다. 

실제로 이번 프로젝트는 2년간 약 500억원(2017년 정부 149억원, 민간 100억원)의 예산이 집행되는 컨소시엄으로, 컨소시엄을 이루는 주관사가 최소 20억원 이상의 자금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제 막 자본이 유입되기 시작한 가상현실 업계의 중소기업이 이 같은 조건을 갖추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또한, ‘직전년도 이자보상비율이 1.0배 미만인가?’.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300% 이상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100%이하인가?’ 등의 신청 자격을 갖춘 상태에서 수십억의 자본을 보유한 가상현실 관련 중소기업은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정작 몇 년 동안 가상현실 기술, 콘텐츠 개발에 앞장선 중소기업들은 본 사업에 지원조차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들 기업의 경우 이제 막 정부의 지원과 다양한 지원이 시작되는 가상현실 업계에서 이 같은 불만을 제기하기란 여러모로 눈치가 보일 수밖에 없다. 그런 만큼 더욱이 중간 조율자 위치에 있는 VR협회가 국내 가상현실 업계를 위한 현실적 조언을 미래부 측에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현재 VR협회 사령탑인 협회장 자리가 공석인 점도 문제다. 현대원 전임회장이 청와대 미래전략수석으로 임명된 후 KT 이미향 상무가 회장 대행을 맡고 있다. 당분간 실무를 맡고 있는 한국VR산업협회 김홍석 사무총장의 경우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 수차례 문의를 시도했으나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VR산업협회 임효정 팀장은 “해당 문제(가상현실 5대 선도 프로젝트)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민감한 사항이니만큼 자신이 공식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닌 것 같다”고 전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